> CEO Briefing > CEO Briefing
"CEO Briefing"은 2005년 9월부터 시작한 소보고서로 신속한 현안 분석과 대응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
산업기술인력 수급 대책, 현장 맞춤형으로
○ 업종별로는 섬유, 화학, 전자산업 부문에서 산업기술인력 부족이 크게 나타났으며, 학력별로는 고졸과 전문학사 부족 현상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.
■ 기업 차원의 인력 부족 사유, 인력의 미스매치와 정보제공 미흡
○ 지역 기업에 미충원인력이 발생하는 가장 큰 사유는 구직자에 대한 정보제공 미흡과 숙련·경력 인력 부족으로 나타났다. 특히 구직자에 대한 정보제공 부족으로 인한 사유가 전국 평균 3.0%와 비교하여 47.3%로 매우 높게 나타나 인력의 수요처와 공급처 간의 정보 비대칭성을 완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.
■ 기업의 업종과 규모를 고려한 인력수급 대책 필요
○ 대구의 산업기술인력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산업별·원인별 인력 수급 대책을 마련하고, 근로자가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.
○ 첫째, 섬유, 화학, 전자산업 중심의 100인 이하 기업에 집중한 맞춤형 인력수급 정책을 수립해야한다. 산업통상자원부가 운영 중인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와 대구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산업별 분과위원회 간 상시 소통체계를 구축하여 업종별 교육현장과 산업현장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고, 산업계 주도형 인력수급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.
○ 둘째, 원인별 인력수급 불일치 해소 대책이 필요하다. 맞춤형 인력공급으로 숙련 불일치를 해소하고, 고용환경 격차를 완화하여 보상 불일치를 해소하며, 실효성 있는 일자리종합정보망을 구축하여 정보 불일치를 해소해야 한다.
▲ 인력수급 불일치 해소 방안
○ 셋째, 중소기업 기피 문화 및 인식 개선도 필요하다.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임금과 복지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업주와 근로자 간에 성과를 공유하는 성과공유제를 확대·지원하고, 지속 가능한 중소기업의 질적 성장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.
* 내용 문의 : 김병태 연구위원(kbt@dgi.re.kr) 053-770-5026